“연금저축만으로는 부족합니다. IRP까지 활용해야 진짜 148만 원 절세가 가능합니다.”
2025 연말정산을 앞두고, 연금저축과 IRP 중 어디에 얼마나 납입해야 할지 고민되시나요? 두 상품의 차이와 장단점을 한눈에 비교해드립니다.
1. 핵심 요약
- 세액공제 한도: 연금저축 600만원, IRP 300만원 → 합산 900만원
- 공제율: 총급여 5,500만원 이하 16.5%, 초과 13.2%
- 중도 인출: 두 상품 모두 55세 이전 인출 시 기타소득세 16.5%
- 차이점: IRP는 퇴직금 이체 가능·투자 제한 엄격, 연금저축은 개인 선택 폭 넓음
2. 연금저축 vs IRP 비교표
매년 초 연금저축 600만원 + IRP 300만원 꽉 채워서 최대 절세효과를 보고 있습니다.
한해 한해 쌓이면 노후자금 준비도 되고, 연말정산 절세효과도 보고 좋더라구요. 여러분들도 꼭 혜택 다 받으시길 바랍니다
| 구분 | 연금저축 | IRP |
|---|---|---|
| 세액공제 한도 | 연 600만원 | 연 300만원 (연금저축과 합산 900만원) |
| 가입 대상 | 만 19세 이상 누구나 | 근로자·자영업자 모두 가능 (퇴직금 수령자 의무 가입) |
| 투자 가능 상품 | 예금, 펀드, ETF, 보험 등 폭넓음 | 예금·펀드·ETF 등 가능하나 주식 직접투자 불가 |
| 수수료 | 사업자별 상이 (증권사 저렴) | 대체로 연금저축보다 높은 편 |
| 중도 인출 | 55세 이전 인출 시 기타소득세 16.5% | 동일하게 적용 |
| 특징 | 개인 재테크 중심 | 퇴직금 이체 + 개인 납입 가능 |
3. 장단점 분석
연금저축 장점
- 개인 납입 중심 → 유연한 운용 가능
- ETF, 펀드 등 다양한 상품에 투자 가능
- 수수료 낮은 사업자 선택 가능
연금저축 단점
- 세액공제 한도가 600만 원으로 제한
- 퇴직금 이체 불가
IRP 장점
- 퇴직금 이체 가능, 노후자산 통합 관리
- 연금저축과 합산 시 최대 900만 원 절세
IRP 단점
- 수수료 상대적으로 높음
- 투자 상품 제한 (직접 주식투자 불가)
4. 절세 팁
- 연금저축 납입액 600만원 채운 뒤 IRP 300만원 추가 납입 → 합산 900만원 채우기
- 직장인 연봉 5,500만원 여부에 따라 납입 금액 변경하기
- 증권사별 수수료 비교 후 장기운용에 유리한 곳 선택
5. 신청 & 추가 정보
관련 글 모아보기
※ 본 글은 2025년 기준 국세청 자료와 금융감독원 가이드를 참고했습니다.
개인별 소득·납입 상황에 따라 절세 효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.
Tags
노후준비